2025년 6월 30일, 프랑스 총선 결선 투표(2차 투표)가 전국에서 일제히 실시되며, 극우 정당 '국민연합(RN)'과 마크롱
대통령이 이끄는 중도연합 '르네상스(Renaissance)' 간의 치열한 정권 주도권 경쟁이 정점을 맞았다. 이번 선거는 프랑스
정치 지형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극우 바람이 확산될 가능성을 점검하는 시금석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 1차 투표서 선전한 국민연합(RN), 과반 확보 도전
프랑스 하원 선거(국민의회)는 총 577석으로 구성되며, 이번 결선 투표는 6월 23일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었던
지역구들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1차 투표 결과,
- 국민연합(RN)이 전체 의석의 약 33%를 확보하며 1위를 차지,
- 마크롱의 중도연합(르네상스)은 약 21%로 뒤처졌고,
- 좌파연합(Nouveau Front Populaire, NFP)은 26% 안팎으로 2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이번 2차 투표는 RN이 단독 과반(289석) 확보에 성공할지 여부, 혹은 타 정당과의 연정 구성이 불가피해질지
여부가 초점이다.
⚖ ‘삼각 구도’와 전통적 양당제 붕괴…프랑스 정가 대격변
전통적으로 프랑스는 중도 우파(공화당)와 중도 좌파(사회당)의 양당 구도가 주를 이루었으나,
- 마크롱의 르네상스 등장 이후 중도 정치가 새축을 형성했고,
- 마린 르펜(Marine Le Pen)이 이끄는 RN은 탈정통 정당의 지지 기반을 흡수하며 영향력을 키워왔다.
이번 총선은 프랑스 정치의 전면적인 재편을 알리는 선거로 평가되며, 그 중심에는 RN의 돌풍이 있다.
🛑 유럽 우려…“극우 연정 출범 현실화될까”
유럽 주요국과 EU 지도부는 이번 프랑스 총선 결과가 전체 유럽의 정치 안정성과 통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RN은 반이민·유럽회의주의 성향을 바탕으로
- 유로존 재정통합 반대, EU 예산축소, 국경통제 강화 등을 주장하고 있어
극우 정당이 정부 주도권을 잡을 경우, EU 내부 결속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프랑스 언론 ‘르몽드(Le Monde)’는 사설에서
“프랑스가 오르반 총리가 있는 헝가리처럼 외교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는 비판적 분석을 내놓았다.
🔀 연정 구성 변수…‘반극우 연대’ 성사 여부 주목
결선 투표에 앞서 마크롱의 중도진영과 좌파연합은 극우 저지를 위한 후보 단일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 이념적 차이와 경쟁 구도로 인해 광범위한 연정 구성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중도·좌파 후보가 사퇴하며 RN 단일 후보와 맞서도록 조율되었으나, 지지율 격차가 좁고 투표율 예측이
어려워 결과는 미지수다.
🗳 투표율과 청년층 표심이 변수
이번 결선 투표에서 투표율과 청년층의 표심이 당락을 결정할 열쇠로 꼽힌다.
- 18~29세 유권자의 약 60%가 기후·이민·복지 정책을 중시한다고 응답한 반면,
- RN은 농촌 및 저학력·중장년층 유권자 기반에 강세를 보이고 있어 세대·지역 간 분할 투표가 예상된다.
📌 향후 일정과 정국 전망
결선 투표 결과는 현지시간 7월 1일 오전 중(한국 시간 7월 1일 오후)에 공식 발표될 예정이며,
- 과반 확보 시 RN은 총리 후보를 지명하고 정부 구성에 착수,
- 과반 실패 시엔 연립 협상 또는 정국 혼란 가능성도 있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프랑스는 ‘협치 정치’ 또는 ‘권력 분점’이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라며,
“마크롱의 국정 운영도 큰 변화를 맞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1단계 완공? 누산타라 시대 본격화? (39) | 2025.07.02 |
---|---|
일본, 자민당 주도 개헌 논의 재점화…헌법 9조 개정 공식 추진 (31) | 2025.07.01 |
전국 장마 피해 확산…충청·경북 북부 폭우로 사망 3명, 이재민 500명 발생 (29) | 2025.07.01 |
넷플릭스 오리지널 ‘서울 블러드’, 한국 흡혈귀 스릴러로 글로벌 TOP 5 진입 (18) | 2025.06.30 |
일본, 인공지능 윤리법 제정안 국회 통과 (37)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