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IT,AI,신기술 지식

K-FAST 세계 진출 본격화? (과기정통부, 80억 원 추경 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5월,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스트리밍 텔레비전(K-FAST: K-Free Ad-supported Streaming

TV)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국산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플랫폼의 해외 시장 진출과 K-콘텐츠 수출 기반 강화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총 80억 원을 확보, 글로벌 플랫폼 연계, 해외 채널 입점 지원,

콘텐츠 번역 및 현지화, 기술 고도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K-FAST 세계 진출 본격화 관련 이미지

1.FAST란 무엇인가?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는 무료로 제공되지만 광고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플랫폼입니다. 전통 TV 채널과 유사한 사용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가입 없이 앱이나 웹으로 접근 가능한 OTT 플랫폼의

장점을 동시에 가집니다.

국내에서는 CJ ENM, LG유플러스, 웨이브(Wavve) 등 일부 기업들이 FAST 서비스 시범 운영 중이며, 미국에서는

Pluto TV, Tubi, Samsung TV Plus 등이 이미 FAST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K-FAST: 한국형 FAST 모델의 의미

K-FAST는 기존 FAST 모델에 한국 콘텐츠(K-콘텐츠) 특화 전략을 적용한 브랜드입니다.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OTT 유료화 한계 및 플랫폼 수수료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수출 채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 지원은 단순한 콘텐츠 제작을 넘어서, ‘플랫폼-콘텐츠-수익모델’ 전반을 글로벌 시장 기준에 맞게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정부 지원 내용과 추진 전략

과기정통부는 확보한 80억 원의 예산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점 추진합니다:

1. 글로벌 플랫폼 연계 확대

  • 삼성 TV Plus, LG Channels, Roku 등 해외 FAST 플랫폼과 연계하여 K-FAST 채널 입점 지원
  • 글로벌 통신사 및 스마트TV 제조사와 협약 체결

2. 콘텐츠 현지화 및 번역 지원

  • 한류 드라마, K-POP, 예능, 다큐멘터리 등 콘텐츠의 다국어 번역 및 자막, 더빙 지원
  • 지역 특성에 맞춘 큐레이션 채널 구성

3. 플랫폼 기술 고도화

  • AI 기반 광고 송출 최적화 기술 개발
  • 시청자 맞춤형 채널 편성 기능 탑재

4. 마케팅 및 홍보

  • 글로벌 K-콘텐츠 팬층을 대상으로 K-FAST 브랜드 캠페인 전개
  • 세계 주요 콘텐츠 마켓(MIPCOM, NATPE 등) 참가 및 B2B 매칭 추진

4.기대 효과

정부는 이번 K-FAST 확산 정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한류 콘텐츠 수출 시장 다변화 및 OTT 종속도 완화
  • 중소 콘텐츠 제작사의 해외 진출 기회 확대
  • 광고 기반 수익모델을 통해 지속가능한 글로벌 진출 인프라 구축
  • 스마트TV, 통신, 클라우드 등 ICT 산업 전반과의 시너지

특히 중소 제작사 입장에서는 기존 OTT와의 계약 문제나 수익 분배 이슈를 피하면서도 세계 시장에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국내외 반응 및 향후 과제

해외 플랫폼 업계는 K-콘텐츠의 고품질과 충성도 높은 팬층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이미 일부 미국 FAST 플랫폼에서는

K-드라마 채널이 고정 시청층을 형성 중입니다.

다만 광고 수익 분배 구조의 투명성, 콘텐츠 다양성 확보, 국내 제작사 대상 교육 및 플랫폼 진입 장벽 완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과기정통부는 “K-FAST는 단순 콘텐츠 수출을 넘어 디지털 방송 생태계 전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이라며,

장기적으로 국가 브랜드 가치 상승과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6.결론: K-FAST, 글로벌 방송 생태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K-FAST는 단순한 플랫폼이 아닙니다. 한국형 디지털 콘텐츠의 글로벌 유통 방식을 재정의하고, 중소 콘텐츠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지원하며, 국가 브랜드를 고도화할 전략적 도구입니다. 이번 80억 원 투자는 그 출발선에 불과하며, 향후 민관 협력이

긴밀히 이뤄질 경우 K-콘텐츠의 세계 확산이 한층 더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