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완공 목표…메타버스·인터랙티브 아트 중심 복합문화공간 조성
2025년 7월, 광주비엔날레재단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디지털아트센터를 2027년까지 광주에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메타버스 기반 전시 콘텐츠, 인터랙티브 아트, XR(확장현실), AI 기반 창작 등 첨단
디지털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며, 국내외 예술계와 기술업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광주를 아시아 디지털문화예술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고, 차세대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예술+기술’ 융합 공간…4차 산업혁명형 예술 플랫폼 구축
이번 디지털아트센터는 단순한 전시공간이 아닌, 예술과 기술이 융합된 4차 산업형 플랫폼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인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메타버스 전시장: 전 세계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가상 전시 공간 구축
- 인터랙티브 아트관: 관람객의 움직임, 음성, 표정 등을 인식하여 반응하는 참여형 작품 전시
- AI 창작 랩: 인공지능과 협업해 실시간으로 창작 가능한 실험 공간
- XR·홀로그램 공연장: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접목한 융복합 무대
- 아티스트 레지던시 & 교육센터: 청년 작가, 기술 기반 창작자들을 위한 입주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이로써 디지털아트센터는 예술 감상뿐 아니라 체험, 창작, 교육, 실험이 가능한 융합형 창작 허브로 기능하게 된다.
광주 특화 문화콘텐츠 생태계 기반…AI·미디어아트 도시로 도약
광주시는 이미 AI 중심 산업도시로서의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광주비엔날레,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유네스코 지정)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번 디지털아트센터는 이러한 정체성과 맞물려 예술과 기술, 산업을 결합한 복합
클러스터의 중심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AI·미디어아트·디지털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지역 청년 창작자와 글로벌 디지털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창작 네트워크를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외 협력 강화…글로벌 디지털아트 거점으로 성장 계획
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국내 주요 IT기업, 디자인 전문기관, 대학교, 해외 문화기관들과의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 해외 디지털아트 페스티벌과의 콘텐츠 교류
- 국제 아트&테크 스타트업 컨퍼런스 정례 개최
- 한·중·일 디지털아트 연합 플랫폼 구축
- 광주비엔날레와 연계된 메타버스 전시 동시 개최
이를 통해 디지털아트센터는 단순한 전시장이 아닌, 글로벌 아티스트들이 협업하고 실험하는 플랫폼이자, 국제 네트워킹
허브로 성장할 계획이다.
2027년 완공 목표…연간 100만 명 유치 기대
디지털아트센터는 광주 북구 일대 문화산업지구 내에 약 3만 제곱미터 부지에 조성되며, 2026년 착공, 2027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시 공간 외에도 야외 미디어 파사드, 디지털 퍼포먼스 광장, XR 교육관, 창작 스튜디오 등이
포함된다. 광주시는 본 센터를 통해 연간 100만 명 이상 관람객 유치 및 5천억 원 이상의 지역 경제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문화관광 활성화와 연계된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도 함께 노리고 있다.
결론: 예술과 기술의 결합, 광주가 선도한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이 추진하는 이번 디지털아트센터는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화
콘텐츠 생태계를 선도하려는 첫 시도다. 메타버스와 인터랙티브 아트를 중심으로 한 이 프로젝트는 AI, XR, 미디어아트의
미래를 선도할 상징적 거점으로, 광주가 아시아 디지털문화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경제,복지,정책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전셋값, 3개월 연속 상승…매물 부족과 재계약 수요가 원인 (31) | 2025.07.06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선 착공(다대포해수욕장~장림 구간 2029년) (27) | 2025.07.06 |
산림청, 여름철 산불 ‘조기경보제’ 전국 전면 도입 (26) | 2025.07.06 |
질병관리청, ‘폭염대응 건강 취약계층 집중 관리’ 본격 개시 (43) | 2025.07.05 |
정부, ‘농식품 수출 150억 달러 달성계획’ 발표!!! (31) | 2025.07.05 |